IBM분석기: IBM Korea가 취급하는 AI 제품들 & IDC에서 보는 AI전망은?
일단 IBM Watson의 제품 분석에 앞서서
현재 한국에서 IBM이 어떤 제품을 launching해서 판매를 시작했는지와,
한국에서 어떤 Plan을 가지고 있는지를 좀 더 알아보기로 했다.
이번 글의 중점은:
1) IBM Korea가 취급하는 AI Deployed Products는?
2) World IDC 들어가서 Top-Notch 회사 찾기
1) IBM Korea가 취급하는 AI Deployed Products는?
일단 웹사이트 들어가서 tour를 해보는게 좋을듯.
일단 IBM 인공 지능 기술쪽으로 들어가면 카테고리가 아래와 같이 정리 되어있음.
- 확실히 최근 AI 시장에서 눈에 띄게 느껴질만한 기술들을 기반으로 Categorized 했다는 점이 느껴진다.
특히나 아이펠 개발자 과정에서 General하게 전체적인 부분을 배우고, NLP(자연어) 와 CV(컴퓨터비전) 쪽으로 이렇게 2개 나눠지는 것에 비해서, 현재 AI업계를 달리고 있는 IBM이 AI Business를 더 디테일하게 5가지로 나누었다는 것 자체가, 더 디테일하고 세미하게 해당영역을 부풀려 갈 수 있다는 것이 전망이 된다.
직접 정리 해보는 IBM AI Business Sector
- 머신 러닝
- IBM Watson Studio: AI 모델 구축, 실행, 관리
- Watson Machine Learning: 자동화된 협업 워크플로우, 머신러닝 모델 구축, 트레이닝, 배치 가능
- 음성 인식
- Watson Speech to Text: IBM Cloud에서 오디오/음성-> 텍스트화 (IBM Cloud어필)
- Watson Language Translator: IBM Cloud에서 뉴스, 특허, 대화 문서를 동적 번역화 (IBM Cloud 어필)
- 자연어 처리
- Watson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IBM Cloud에서 컨텍스트에서 개념, 감정, 엔티티 같은 메타데이터 파악 (IBM Cloud 어필)
- Watson Natural Language Classifier : Cloud에서 자연어를 안정적으로 해석하고 분류 (IBM Cloud어필)
- 추천 시스템
- Watson Discovery: 자동화된 수집 기능(크롤링)으로 데이터 수집하고 이를 Cloud상에서 연관성 생성 (IBM Cloud어필)
- IBM Watson Knowledge Catalog: 데이터 거버넌스 플랫폼과 민접하게 통합된 카탈로그. 데이터 검색, 준비, 정제, 카탈로그화 .
- (추가 설명) 조금 개념이 헷갈려서 더 찾아보니, 데이터 같은 경우는 유럽의 경우 GDPR 같이 데이터를 관리하는 측에서 민감 정보를 어떻게 treat하고 manage 해야하는 부분이 있는데, 이를 IBM 인공지능으로 Governance/ Policy에 맞게 데이터를 정제하고 관리 해주는 제품으로 보임. (Cyber Security 기획 & 영업 경력 살려서 열심히 적어봄 (윙크))
- 컴퓨터 비전
- Watson Visual Recognition: Cloud에서 시각적 콘텐츠의 태그 지정, 분류,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 Watson Machine Learning Accelerator: GPU 작동형 멀티 테넌트 아키텍쳐로 딥러닝 가속화
다음시간 추가 탐색 필요사항
- IBM Cloud Pak for Data?
- 중간 중간에 추가 서비스 패키지로 보이는 부분들이 있어서, 이 부분들은 어떠한 면에서 Leverage 시켜주는지 확인 필요해 보임.
2) Korea IDC 들어가서 Top-Notch 회사 찾기
2-1) 일단 2021 IDC Forecast를 봐보자.
Is it Futuristic? & How?
By 2024, the market is expected to break the $500 billion mark with a five-year compound annual growth rate (CAGR) of 17.5% and total revenues reaching an impressive $554.3 billion.
-> 2024년 정도가 되면 인공지능 시장은 $500billion을 넘을것이고, 총 매출은 $554.3billion달러를 도달할 것이다.
출처: www.idc.com/getdoc.jsp?containerId=prUS47482321#:~:text=Within%20the%20AI%20software%20category,%2Dyear%20CAGR%20of%2032.7%25.
IDC Forecasts Improved Growth for Global AI Market in 2021
IDC examines consumer markets by devices, applications, networks, and services to provide complete solutions for succeeding in these expanding markets.
www.idc.com
2021-2024에서 prospecting AI Tech쪽을 본다면,
1등. AI Software Platforms
2등. AI Application Development & Deployment
3등. AI ERM
일단 기하급수적으로 많은 비지니스에서 AI를 도입하고 관리 시작하기 위해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Platform 과 Application dev & deployment를 Needs하는 것으로 파악이 된다.
(나의 관점) 사실 이 부분은 너무나도 잘 이해가 된다. 모두가 AI 개발자가 되는 track path를 밟기에는 너무 벅차기 때문에
오히려 Platform을 통해서 현재 나의 비지니스를 Upgrade를 손쉽게 업그레이드 시켜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이 든다.
2-2) 2020 세계 매출로 본 Top 3 AI Companies
2020의 1월~6월까지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본 AI 회사 Top 3 회사들로 보자면
(일단 위에서 가장 뜬다고 prospect한 3가지만 중점으로 볼거임)
#1. IBM, #2. Microsoft, #3. Google, OpenText, Intuit 등
근데 순위가 AI Centric과 AI Non-Centric으로 나눠지는데,
이 부분은 AI 중심 회사인지, 아니면 Non-centric, 즉, 보안이 중심인데 AI deployment를 통해서 키워가는 회사인지로 구분 한 것으로 보인다.
이 부분은 기술 카테고리 부분에서 IT Service vs Business Service 중에 어떤 부분이 더 Competitive 해질까?라는 부분인데,
아래 인용 부분이 인상적이다.
"Though the pandemic interrupted the momentum of worldwide AI services market growth, enterprise demand for AI capabilities to support business resiliency and augment human productivity sustained double-digit expansion in 2020, even as other discretionary projects experienced delays," said Jennifer Hamel, research manager, Analytics and Intelligent Automation Services. "Client demand for technical expertise to develop, implement, and manage AI applications drives IT services expansion, while increasing adoption of AI-enabled automation within business processes boosts spending on business services."
-> 사람들이 코로나로 인해서 오히려 AI Enable된 자동화 시스템을 더 많이 도입하기 시작했고, 이런 것을 가능화 하기 위해 technical expertise 기술적 전문가들에게 develop, implement, AI application을 매니지 하기 위한 IT 서비스에 대한 확장이 이뤄지고 있다.
The latest release of the AI Tracker covers a total of 160 vendor companies in the AI Services market. Under IT Services for AI, the Top 3 companies in 1H 2020 were IBM, Accenture, and Infosys. These were the only companies to bring in more than $500 million in IT Services for AI revenues and their combined share of the market was 28%. Beyond the Top 3, 13 other companies generated more than $100 million each during the same period. In the Business Services for AI market, there were only four companies – Ernst & Young, PwC, Deloitte, and Booz Allen Hamilton – that generated revenues of more than $100 million in 1H 2020. Overall, the competitive landscape in both services markets for AI is a highly fragmented one where players from across the services value chain continue to invest in technology assets, innovation resources, and expertise in applying AI to solve industry- and domain-specific problems for clients.
-> AI 서비스 마켓에서 벤터 회사는 총 160개 회사가 되며, 이 중 2020 1분기 Top 3회사를 뽑자면, IBM, Accenture, Infosys가 되겠다.
-> 이 Top 3개 회사를 넘어서 다른 13개 회사는 같은 기간 동안 100million 달러를 더 생성하였다.
-> AI시장에서의 Business Service 영역으로는, Ernst&Young, PwC, Deloitte, Booz Allen Hamilton의 4개의 회사만 있다.
인상적인 부분
AI 시장에서도 일단 Business Service, 비지니스를 진행하는데에 있어서 AI가 활용이 되는 부분, 그리고 IT Service, 이미 가지고 있거나 새로 만드는 IT 서비스 부분에서 자동화를 도입하는 부분, 이렇게 2가지고 있다.
그런데 Business Service부분 보다는 IT Service쪽이 AI 시장에서 더 요구가 많다.
이는 즉 상업적으로 AI 교육, AI 시설 이렇게 대 놓고 홍보해서 AI를 상업화 하는 부분 보다는, 이미 회사에 도입되어 개발하거나 관리하는 부분에서 IT 서비스로 활용 되는 부분이 더 많다는 것 으로 해석 된다. (혹시나 나의 해석이 틀렸다면, 정정 요청 부탁 드립니다.)
이렇게 하여 오늘은 아래 두가지를 파악 해 보았으며,
1) IBM Korea가 취급하는 AI Deployed Products는?
2) Korea IDC 들어가서 Top-Notch 회사 찾기 -> 사실 Korea뿐만이 아닌 세계 전역을 봄.
(사실 Korea영역이 큰 부분은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트렌드를 보면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좋음)
이번에는 1번에서 IBM을 조금 중점으로 봤다면,
다음에는 언급된 Top 3에 대한 한국 제품 launching과 진행 사항/ 트렌드를 조금 읽어보는 걸로 하겠습니다!
그럼 오늘도 수고!